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추진되어 통과된 2차 상법 개정안은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소액주주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법률 개정안입니다.
특히 이번 개정안에 포함된 핵심 제도 중 하나가 바로 자산 2조 원 이상의 상장기업의 집중투표제 의무입니다.
1. 집중투표제(누적투표제)란 무엇인가?
집중투표제(누적투표제)는 주주가 가진 의결권을 특정 이사 후보자에게 몰아서 행사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기존 투표제는 선임할 이사 수에 맞춰 의결권을 균등 분할하여 사용해야 했다면 집중투표제는 이사 수에 의결권을 분할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이사 후보에게 집중하여 투표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 A 주주가 100주의 주식을 가지고 있고
- 선출해야 할 이사가 3명이라면
👉 기존 방식에서는 각 이사 후보에게 100표씩 투표해야 합니다.
👉 집중투표제를 적용하면 300표를 한 후보에 몰아줄 수 있습니다.
즉, 소수 주주도 자신이 원하는 이사를 이사회에 진출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집니다.
2. 집중투표제가 도입되는 이유
🔹 소수주주 권리 강화: 대주주 중심의 경영 구조 개선
🔹 이사회 다양성 확보: 다양한 의견 반영
🔹 투명한 기업 경영 유도: 견제와 균형 기능 강화
3. 집중투표제가 기업과 주주에게 미치는 영향
기업 입장
🔹 대주주의 경영권 안정성이 약화될 수 있음
🔹 외국계 자본, 투기자본이 기업 경영권을 위협할 우려
🔹 이사회 내 다양한 의견 충돌 가능성 증가
🔹 그러나 투명성과 책임경영 강화라는 긍정적 효과
주주 입장
🔹 소수주주도 이사 선임에 실질적으로 참여 가능
🔹 대주주의 독단적인 이사회 장악 견제
🔹 기업의 장기적 성장과 투명성 확보에 기여
4. 해외 사례와 한국의 변화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이미 집중투표제를 채택하여 소수주주의 권리를 보장
한국에서도 2차 상법 개정안에 따라 상장회사 전반에 집중투표제 의무화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모든 기업이 집중투표제를 적용해야 하나요?
A. 개정안에 따라 2조 이상의 자본을 가진 상장회사는 의무 적용입니다.
Q2. 대주주에게 불리한 제도 아닌가요?
A. 대주주 입장에서는 경영권 방어가 어려워질 수 있지만, 이는 경영 투명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로 평가됩니다.
Q3. 소액주주에게 어떤 이점이 있나요?
A. 소수주주도 자신이 지지하는 이사를 선임할 수 있는 실질적 권리를 얻게 됩니다.
6. 앞으로의 전망
2차 상법 개정안에 포함된 집중투표제 도입은 한국 기업의 지배구조를 크게 바꿀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소액주주 보호와 투명경영 강화라는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며 한국 증시의 구조적 저평가 해소, 즉 '코리아 디스카운트' 극복을 위한 변화로 기대되고 있습니다.